|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mvvm
- self
- list
- 화면전환
- 글또
- apns
- calendar
- http
- CoreImage
- struct
- escaping
- ScrollView
- array
- viewlifecycle
- Observer
- 고차함수
- Animation
- IOS
- SWIFTUI
- SWIFT
- Git
- Switch
- class
- Refresh
- singleton
- segue
- error
- NotificationCenter
- PushNotification
- uiki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1)
seong_hye, the developer
코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복작업을 최소화하는 일이겠죠?이 작업을 효율적으로하는 것이 바로 함수를 잘 이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함수가 무엇일까?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호출할 수 있게 이름 붙여진 코드 블럭정의하고 호출(또는 실행)하는 방법으로 실행됨값(매개변수)를 받아 산술식을 수행하며 계산 결과가 반환되도록 할 수 있음func 함수명(매개변수명: 매개변수 타입,...) -> 리턴타입 { //code}함수명(인자명: 인자값)매개변수와 인자의 차이는 무엇일까? 매개변수(파라미터): 함수의 정의에 입력값으로 사용되는 변수(상수) 인자(아규먼트): 함수의 호출에 사용되는 실제 값아규먼트 레이블 사용 시파라미터를 외부에서 볼 때, 함수 호출 시 사용하려는 이름func plusFunction(..
let str = "123" let number = Int(str) // 123 let str2 = "123.4" let number2 = Int(str2) // 123 ==> .4 유실됨 컴퓨터는 0과 1, 참과 거짓, 설정됨과 설정되지 않음과 같은 2진수로 행동한다. 인간은 컴퓨터가 아니기에 컴퓨터의 언어인 2진수로 생각하지 않는다. 인간이 0~9로 된 10진수로 행동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데이터 타입은 무엇이고 왜 존재할까? 컴퓨터와 우리 사이에는 데이터를 얼마 만큼의 크기, 그리고 어떤 형태로 저장할 것인지에 대한 약속이 필요하다. 데이터 타입은 프로그래밍할 때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이 약속이 바로 데이터 타입인 것이다. Swift에서 사용하는 ..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첫번째 단계가 바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이 때, swift에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크게 상수와 변수로 나눠 볼 수 있다.변수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으로 var을 사용하며데이터(자료)를 담을 수 있는(바구니)를 의미한다.변수의 경우 값을 계속 변경할 수 있기에 다양한 곳에 이용할 수 있다. 변수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해야하며,중간에 숫자가 들어가는 것도 괜찮다. (숫자로 처음을 시작하는 것은 금지)var number = 1number = 3 (o) 변수는 ,(콤마)를 활용해 변수를 여러개 한꺼번에 선언할 수 있다.또한,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값을 복사해서 저장한다.상수상수는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let을 이용한다.예로 상수는 한..
제어문 : 조건에 의하여 문장들의 실행 순서를 변경 할 수 있음 조건문 :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개의 실행 경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if-else문 : 주어진 조건식을 계산하여 그 결과값이 참이면 문장을 실행 만약 거짓으로 계산되면 else 이하의 문장이 실행됨 (else는 생략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조건식에는 연산의 결과값이 참이나 거짓으로 생성되는 수식이 사용됨 + 형식 if (number % 2 == 0) //조건식 { System.out.println("짝수입니다");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되는 문장, then절이라고 함 } else{ System.out.println("홀수입니다"); // 조건식이 거짓이면 실행되는 문장, else절이라고 함 } * 주의! 중괄호가 없으..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초 128MB 41418 24509 20009 61.665% 문제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A×B)%C는 ((A%C) × (B%C))%C 와 같을까? 세 수 A, B, C가 주어졌을 때, 위의 네 가지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출력 첫째 줄에 (A+B)%C, 둘째 줄에 ((A%C) + (B%C))%C, 셋째 줄에 (A×B)%C, 넷째 줄에 ((A%C) × (B%C))%C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8 4 예제 출력 1 1 0 0 느낀점 단순한 출력을 요하는 문제라서 풀기 쉬운 편이였다. 기호의 의미를 잘 알고 ..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초 128MB 41418 24509 20009 61.665% 문제 두 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최대 공약수와 최소 공배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두 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이 둘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사이에 한 칸의 공백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24 18 예제 출력 6 72 느낀점 두 수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를 생각해 for문으로 만들어 계산하였더니 런타임 에러가 계속 발생했다.. 헤매던 끝에 유클리드 호제법을 알게 되었다. //까먹지 말자ㅏㅏ -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두 수 a, b ∈ ℤ..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2초 128MB 73846 34885 28528 48.179% 문제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4 1 3 5 7 예제 출력 3 느낀점 소수란? 1이랑 자기 자신만 약수로 가지는 수이다. 이를 정확히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문제로 1에서 숫자 자신의 크기만큼 반복하면서 자기자신을 수만큼 나누는 것을 반복하며 약수의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포인트였다. 하지만 푸는 도중 계속해서 실패해 잘못 풀었나 생각했는데 초기화를 안..
수식 : 변수, 상수, 연산자 등으로 구성된 식 - 항상 결과값을 가짐 - 수학에서의 식과 거의 같은 형태 x = 10; y = 20; sum = x + y; // 3문장 다 수식임 연산자 : 특정한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 ex) +, - , *, / 등등)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 - 피연산자들에 대하여 지정된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함 ~ 대입 연산 : 왼쪽에 있는 변수에 오른쪽에 있는 수식의 값을 계산하여 저장함 - 대입 연산자는 할당 연산자 또는 배정 연산자라고 함 x = 10; // 상수 10을 변수 x에 대입함 ~ 산술 연산 연산자 기호 의미 예 덧셈 + x와 y를 더함 x + y 뺄셈 - x와 y를 뺌 x - y 곱셈 * x와 y를 곱함 x * y 나눗셈 / x와 y를 나눔 x / 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