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bserver
- singleton
- class
- PushNotification
- Switch
- calendar
- mvvm
- 글또
- SWIFT
- segue
- NotificationCenter
- 고차함수
- http
- protocol
- viewlifecycle
- SWIFTUI
- list
- ScrollView
- array
- apns
- uikit
- escaping
- Git
- struct
- self
- IOS
- 회고
- Refresh
- error
- 화면전환
- Today
- Total
목록IOS (94)
seong_hye, the developer
반복문이 무엇일까?지정된 조건에 만족할 때까지 반복저긍로 수행하는 구문for - in문어떤 컬렉션이나 숫자 범위에 포함된 일련의 항목들을 반복하는 데 사용사용하기 쉬운 반복문 옵션을 제공for 상수명 in 컬렉션 또는 범위 { //code} - 상수명 : 상수로 사용되는 이름반복문이 실행되는 컬렉션 또는 범위의 현재 항목을 담게 되는 값반드시 선언해야하는 것은 아님 - 컬렉션 또는 범위: 반복문을 통해 참조문자열, 범위 연산자, 컬렉션(배열, 딕셔너리, Set)이 될 수 있음var count = 0for _ in 1...5 { count += 1} // count = 15 주의할 점!중괄호는 변수가 적용가능한 범위를 의미- 중괄호 내에서 밖의 변수는 접근 가능- 중괄호 밖에서 중괄호 내의 변수는..
조건문은 무슨 의미일까?조건에 따라 어떤 동작을 할지 말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문장코드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장if문참 또는 거짓의 특정 조건에 따라 특정 코드만 실행하게 할 수 있는 문장=> 조건을 만족한다면 중괄호 안의 코드를 실행하는 조건문if 조건식 { // 조건식이 true 일 때 수행될 코드} 주의할 점!- 논리적인 구조 및 조건의 순서 중요(작은 범위부터)- 조건을 &&, ||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 중첩해서 사용 가능if 조건식 { // code } else if { // code} else { //code} switch문표현식/ 변수를 매칭시켜 분기처리할 때 사용하는 조건문if문보다 한정적인 상황에서 사용switch 표현식 {case 값1: //codecase 값2: //..
코드를 쓰다보면 수많은 데이터를 만나게 되고그 데이터를 하나하나 각자 다 만들어 사용할 수는 없게 되겠죠?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료형이 필요한데요이럴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 바로 컬렉션 타입이에요.컬렉션 타입이란?스위프트에서 사용하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다루는 바구니 타입예로 인스타그램 게시글, 블로그 글들과 같이 많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필요한 타입 이런 컬렉션은 3가지가 존재함Array데이터 값들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컬렉션대괄호([ ])로 묶음 / 각각의 데이터는 요소(index)라고 지칭 규칙-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자동으로 순서가 지정됨- (순서가 있기 때문에) 배열의 데이터는 중복 가능- 한 개의 배열에는 동일한 데이터 타입만 담을 수 있음 사용하는 경우가장 많이 사용..
코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복작업을 최소화하는 일이겠죠?이 작업을 효율적으로하는 것이 바로 함수를 잘 이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함수가 무엇일까?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호출할 수 있게 이름 붙여진 코드 블럭정의하고 호출(또는 실행)하는 방법으로 실행됨값(매개변수)를 받아 산술식을 수행하며 계산 결과가 반환되도록 할 수 있음func 함수명(매개변수명: 매개변수 타입,...) -> 리턴타입 { //code}함수명(인자명: 인자값)매개변수와 인자의 차이는 무엇일까? 매개변수(파라미터): 함수의 정의에 입력값으로 사용되는 변수(상수) 인자(아규먼트): 함수의 호출에 사용되는 실제 값아규먼트 레이블 사용 시파라미터를 외부에서 볼 때, 함수 호출 시 사용하려는 이름func plusFunction(..
let str = "123" let number = Int(str) // 123 let str2 = "123.4" let number2 = Int(str2) // 123 ==> .4 유실됨 컴퓨터는 0과 1, 참과 거짓, 설정됨과 설정되지 않음과 같은 2진수로 행동한다. 인간은 컴퓨터가 아니기에 컴퓨터의 언어인 2진수로 생각하지 않는다. 인간이 0~9로 된 10진수로 행동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데이터 타입은 무엇이고 왜 존재할까? 컴퓨터와 우리 사이에는 데이터를 얼마 만큼의 크기, 그리고 어떤 형태로 저장할 것인지에 대한 약속이 필요하다. 데이터 타입은 프로그래밍할 때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이 약속이 바로 데이터 타입인 것이다. Swift에서 사용하는 ..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첫번째 단계가 바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이 때, swift에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크게 상수와 변수로 나눠 볼 수 있다.변수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으로 var을 사용하며데이터(자료)를 담을 수 있는(바구니)를 의미한다.변수의 경우 값을 계속 변경할 수 있기에 다양한 곳에 이용할 수 있다. 변수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해야하며,중간에 숫자가 들어가는 것도 괜찮다. (숫자로 처음을 시작하는 것은 금지)var number = 1number = 3 (o) 변수는 ,(콤마)를 활용해 변수를 여러개 한꺼번에 선언할 수 있다.또한,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값을 복사해서 저장한다.상수상수는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let을 이용한다.예로 상수는 한..